티스토리 뷰

용어정리

PSR(주당매출액비율)

하루한개 2023. 8. 17. 00:02
반응형

 

1. PSR(price-sales ratio 주당매출액비율)이란?

 

PSR(price-sales ratio 주당매출액비율)은 현재의 주가를 기업의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를 말합니다.

매출액 대비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이나 PBR (주가순자산비율) 등의 다른 가치평가 지수와 마찬가지로

PSR 이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SR의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R은 기업의 매출액 성장성을 토대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 투자 지표입니다.

만약 기업 A의 매출액이 매년 꾸준히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PSR이 시장 평균인 0.6배에도 못 미친다면

매수를 검토해볼 만합니다..

물론 해당 기업의 매출 성장성에 초점을 맞추되, 얼마나 꾸준히 이익을 내는지

역시 복합적으로 살펴본다면 더 현명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PSR은 업종별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장성이 높고 매출액이 큰 업종일수록 PSR이 높게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IT 업종의 PSR은 제조업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PSR을 비교할 때는 동종 업종 내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PSR이 높은 기업을 찾는 방법

 

PSR이란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시가총액이 매출액에 비해 얼마나 높게 평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SR이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SR을 비교할 때는 동종 업종 내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장성이 높고 매출액이 큰 업종일수록 PSR이 높게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IT 업종의 PSR은 제조업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PSR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네이버 금융 등의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원하는 기업의 종목 분석 페이지에서 성장성 항목을 클릭하면 PSR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PSR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R을 통해 고평가된 기업을 찾으려면,

해당 업종의 평균 PSR보다 높은 기업을 선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IT 업종의 평균 PSR은 약 2.5배 정도인데,

네이버의 PSR6.5배로 IT 업종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네이버는 PSR로 보면 고평가된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SR은 기업의 매출액 성장성을 반영하는 지표이므로,

고평가된 기업이라고 해서 반드시 투자에 부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매출액 성장성이 높고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는 기업들은

PSR이 높아도 투자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의 PSR7.8배로 IT 업종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카카오톡, 카카오뱅크, 카카오모빌리티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PSR을 통해 고평가 된 기업을 찾는 것은 한 가지 방법일 뿐,

투자 결정에 있어서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3. PSR지표의 장단점

 

PSR(주가매출액비율)은 현재의 주가를 기업의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시가총액이 매출액에 비해 얼마나 높게 평가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PSR이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SR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PSR은 순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잠재적인 고성장 기업을 평가하는데 특히 유용한 지표입니다.

순이익이 없거나 작은 기업들에 대해서는 PER(주가수익비율)이나 PBR(주가순자산비율) 등의

다른 가치평가 지수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SR은 매출액이라는 회계 조작이 힘들고 변동성이 적은 수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매출액은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 점유율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PSR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PSR은 기업의 이익 마진과 산업별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은 크지만 이익 마진이 낮은 기업과,

매출액은 작지만 이익 마진이 높은 기업을 PSR로 비교하면,

전자가 후자보다 저평가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성장성이 높고 매출액이 큰 산업일수록 PSR이 높게 산정되기 때문에,

동종 업종 내에서만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SR은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순이익을 배제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순이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PSR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주가  (0) 2023.08.20
SPS (주당 매출액)  (0) 2023.08.18
ETN 이란?  (0) 2023.08.16
P/FCF(주가잉여현금흐름배수)  (0) 2023.08.15
CFPS(주당현금흐름)  (0) 2023.08.15